SPC (통계적 공정 관리) 썸네일형 리스트형 4. SPC (공정 품질 관리 - Statical Quality Control) 공정 관리도의 개념 제품의 품질은 차이가 존재하며(변동), 품질 거사의 결과는 다음 생산 공정에 반영 할 수 있으나 완제품에 반영할 수 없다. 그러므로 생산 공정은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며 생산에 관련된 개인들(생산자,관리자,품질검사자)은 공정 성늘을 높이고 주요 품질 변수의 변동을 줄이려는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. 온라인 통계적 공정 관리(SPC : Statiscal Process Control ) 은 이런 목적을 달성하는 주요 수단이 되며 SPC 의 가장 간단한 형태가 Shewhart 관리도이다. 만약 제품이 소비자 요구를 만족하면 안정적이고 반복적인 공정에 의해 재생산 될 수 있어야 한다. 즉 좋은 공정이란 제품 품질 관련 특성치의 목표 값을 중심으로 변동을 최소화 하는 공정을 의미한다. SPC 는.. 더보기 2. SPC ( Cp 와 Cpk) 공정능력 1.정의 : 관리상태에 있는 공정이 만들어 내는 품질향상 능력, 즉, 표준화된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나타나는 산포의 범위 2.공정능력지수 : 제품의 변돈( 산포 ) 정도를 제품의 규격(공차) 와 비교하여 공정의 능력을 나타낸 지수 3. 공정능력지수의 종류 (3가지) - Cp : 제품의 분포중심과 규격중심이 일치하는 경우 사용 - Cpk : 제품의 분포중심과 규격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(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) - Ppk : Cpk 와 동일하나 공정의 총 변동을 반영한 공정 능력 지수 4. Cp 와 Cpk (Graph 비교) 5. Cpk 와 Ppk 의 차이점 비교 Cpk : 임의의 일정시점 동안의 정상적인 공정상태(4M 변동최소) 에서의 공정능력을 의미한다. Ppk : 정상적인 공구.. 더보기 1. SPC 란? 앞으로 이 포스팅은 통계적 공정관리에 대한 정보를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. 관련 정보가 많이 없는 만큼 이론적 이주 그리고 전체의 틀에서 기본 기능을 알아가는 방식을 적용 하겠다. 1. SPC 란 ? - 그냥 간단하게 정의를 표현 한다면 통계적(Statical) 기법을 통한 공정(Process)을 제어(Control) 하여 효육적으로 공정을 관리 하는 분석 방법을 뜻한다. 이런 분석 방법을 효육적으로 적용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 진정한 목표 !! 하지만 이런 프로그램을 이해 할려면 기존 SPC 의 분석 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통계적 분석 방법의 용어가 정리 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접근 하기 어려울 거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. 다음 포스팅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