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PC (통계적 공정 관리)

2. SPC ( Cp 와 Cpk)

공정능력

 

1.정의 : 관리상태에 있는 공정이 만들어 내는 품질향상 능력, 즉, 표준화된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이 

나타나는 산포의 범위

 

2.공정능력지수 : 제품의 변돈( 산포 ) 정도를 제품의 규격(공차) 와 비교하여 공정의 능력을 나타낸 지수

 

3. 공정능력지수의 종류 (3가지)

   - Cp  : 제품의 분포중심과 규격중심이 일치하는 경우 사용

   - Cpk : 제품의 분포중심과 규격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(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)

   - Ppk : Cpk 와 동일하나 공정의 총 변동을 반영한 공정 능력 지수

 

4. Cp  와 Cpk (Graph 비교)  

 

 

 

5. Cpk 와 Ppk 의 차이점 비교 

 

    Cpk : 임의의 일정시점 동안의 정상적인 공정상태(4M 변동최소) 에서의 공정능력을 의미한다. 

   

 

Ppk : 정상적인 공구마모의 영향 , 재료의 배치간의 미소한 변동 및 ( 유사한 ) 예측 가능한 작은 변동을 포함한 것으로 비교적 장기적인 공정능력(공정실적) 을 산출하는데 사용된다. 또한  4M 이 안정되지 않은 초기 공정능력을 산출할 때에도 사용 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SPC (통계적 공정 관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. SPC (공정 품질 관리 - Statical Quality Control)  (0) 2013.04.01
1. SPC 란?  (0) 2013.03.28